決定的對與錯,
就要看年底了....
.......
트레이드 무산됐던 서건창, ‘자의’로 이적 길 열었다
(要求轉隊交易失敗的徐建昌,通過自我減薪打開離隊的路)
‘예비 프리에이전트(FA)’ 서건창(32·키움)은 스스로 칼자루를 쥐는 걸 택했다. ‘자의’로도 떠날 수 있는 길을 넓혔다. ‘셀프 삭감’ 카드는 1년 후 어떤 결말로 이어질까.
서건창은 1989년생이다. 어느덧 30대 중반을 향하고 있다. KBO리그 첫 시즌 200안타를 달성했을 때가 7년 전이다. 그렇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타자’다.
스토브리그의 화두 중 하나는 서건창의 2021시즌 연봉이다. 그는 2억2500만 원에 서명했다. 2020시즌 연봉 3억5000만 원보다 1억2500만 원이 삭감됐다.
서건창은 2021시즌 연봉 2억2500만 원에 계약했다. 1억2500만 원이 삭감됐으나 그는 FA B등급을 받게 됐다. 사진=MK스포츠 DB
서건창이 영웅군단에 합류한 2012년 이후 그의 연봉이 1억 원 이상 깎인 건 처음이다. 1억4000만 원이 올랐던 2017시즌을 끝으로 한 번도 인상된 적이 없으나 삭감의 폭이 큰 적도 없었다. 2018시즌에는 2000만 원, 2019시즌에는 3000만 원이 삭감됐다. 2020시즌에는 동결이었다.
서건창은 2021시즌 종료 후 데뷔 첫 FA 자격을 취득한다. 과거 예비 FA는 연봉 대박을 터뜨렸다. 이른바 ‘예비 FA 프리미엄’이다. 구단은 타 구단 이적을 막기 위해 선수의 연봉을 크게 올렸다. ‘부담스러운’ 보상금을 만들기 위함이다. 만약 선수가 떠나더라도 거액을 받을 수 있다.
키움도 서건창에게 제시한 금액은 3억2000만 원이었다. 3000만 원만 삭감됐다. 서건창은 2020시즌 135경기에 출전해 타율 0.277 134안타 5홈런 52타점 79득점 장타율 0.386 출루율 0.390을 기록했다. 타율은 2013년(0.266) 이후 가장 낮았다. 그렇지만 출루율까지 크게 떨어진 건 아니다. 볼넷을 91개나 골랐다.
서건창은 9500만 원을 더 삭감해줄 것으로 요청했다. 셀프 삭감이 첫 사례는 아니다. 그렇지만 보통 고액 연봉자가 구단과 후배들을 위해 양보하는 경우였다. 금액도 1억 원에 가깝지 않았다.
올겨울부터 FA 등급제가 시행되면서 바뀐 풍속도다. FA 등급제는 ‘연봉’으로 나뉜다. 고액(FA 계약자를 제외한 3년간 평균 연봉 순위 3위 이내 및 전체 연봉 순위 30위 이내)일수록 A등급으로 분류된다.
서건창은 연봉을 크게 깎으면서 등급을 낮췄다. 일주일의 생각할 시간을 줬으나 서건창의 의지는 분명했다. 9500만 원을 추가로 포기하는 대신에 FA 신청 후 선택의 폭을 넓히고자 했다.
최주환(두산→SK)과 김상수(키움→SK)가 좋은 예다. 보상금(2020시즌 연봉 2억7000만 원)이 적었던 최주환은 SK와 대형 계약(4년 42억 원)을 맺었다. FA 계약으로 연봉은 얼마든지 보상받을 수 있다.
반면에 2020시즌 연봉 3억 원이었던 김상수는 선택의 폭이 좁았다. 타 구단이 관심을 보이더라도 최대 9억 원의 보상금이 부담스러웠다. 결국은 사인 앤드 트레이드로 떠났다.
세 차례(2012·2014·2016년)나 골든글러브를 수상한 서건창은 내리막길을 걸었다. 부상 여파가 컸으며 지명타자로 나서는 경우도 많았다.
2루수로서 경쟁력을 잃어갔지만 ‘클래스’가 있는 선수다. 김하성(샌디에이고)의 메이저리그 진출로 키움의 새 시즌 2루수 후보 1순위다. 특히 타격 능력은 뛰어나다. 서건창의 KBO리그 통산 타율은 0.310이다. 2020시즌 득점권 타율도 0.300으로 찬스에 강했다.
그동안 서건창 영입에 관심을 나타낸 구단이 적지 않았다. 키움에 직접 트레이드 문의를 하기도 했다. ‘타의’에 의한 이적은 이뤄지지 않았다. 카드가 맞지 않았다.
이번에는 ‘자의’로 이적할 수도 있다. 문턱이 낮아졌다. 타 구단은 FA 서건창과 계약하면 키움에 2억2500만 원+선수 1명(보호선수 25인 외) 혹은 4억5000만 원을 보상하면 된다.
서건창은 우선 주목도 높이기에 성공했다. 다음 차례는 ‘성적’으로 보여주는 거다. 향후 FA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전략’이다. 물론, 한쪽에서는 FA 등급제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
大致翻譯:
"預備自由選手(FA)"徐建昌(32歲,培證)選擇了自己握刀。 也拓寬了可以"自我"離開的道路。 "自我削減薪水”這張牌在一年之後會有什麼結局呢?
徐建昌生於1989年。 轉眼間,已經30多歲了。 KBO聯賽第一個賽季實現200個安打的時候是在7年前。 但是他依然是充滿魅力的"擊球手"。
Stove League的話題之一就是徐建昌在2021賽季的年薪。 他以2億2500萬韓元簽了名。 比2020賽季的年薪3.5億韓元減少了1.25億韓元。
徐建昌在2021賽季以2.25億韓元的年薪簽下了合同。 雖然削減了1億2500萬韓元,但是他得到了FA的B等級。
2012年徐建昌加入英雄軍團後,他的年薪被削減1億韓元以上,這還是第一次。 在2017年賽季結束後,該賽季的年薪增加曾達到1.4億韓元,但從未上調過,而且削減幅度也不大。 2018賽季削減了2000萬韓元,2019賽季削減了3000萬韓元。 2020賽季是凍結。
徐建昌將在2021賽季結束後,首次取得FA資格。 過去預備FA的年薪非常驚人。 這就是所謂的"預備FA溢價"。 球隊爲了防止其他球隊的挖角,大幅提高了球員的年薪。 這是爲了製作"負擔"的補償金。 如果運動員離開,也可以獲得鉅額獎金。
培證向徐建昌提出的年薪金額爲3億2000萬韓元。 只削減了3000萬韓元。 徐建昌在2020賽季參加了135場比賽,取得了擊球率0.277、134個安打、5個本壘打、52打點、79分、長打率0.386、出壘率0.390的成績。 安打率是自2013年(0.266)以來的最低值。 但是出壘率並沒有大幅下降。 他還選出91個四壞球上壘。
徐建昌要求再削減9500萬韓元。 自我削減並不是第一個事例。 但是,通常是高額年薪者會爲球隊和後輩們做出讓步。 金額也不到1億韓元。
這是由於從今年冬天開始實行FA等級制而改變的風向。 FA等級制分爲"年薪"。 越是高額(除去FA簽約者的3年間平均年薪隊內排名3位以內及全體年薪排名30位以內)的年薪,就會被分類爲A等級。
徐建昌大幅降低年薪,降低等級。 雖然給予了一週思考的時間,但徐建昌的意志非常明確。 在追加放棄9500萬韓元的同時,還要擴大申請FA後選擇的範圍。
崔周煥(斗山→SK)和金相洙(培證→SK)就是很好的例子。 補償金(2020賽季年薪2.7億韓元)少的崔周煥與SK簽訂了大型合同(4年42億韓元)。 通過FA合同,年薪完全可以得到補償。
相反,2020賽季年薪爲3億韓元的金相洙的選擇餘地很小。 即使其他球隊表現出關心,最多也要有9億韓元的補償金。 最終,他離開了球隊(是透過交換新人選秀權才達成)。
三次(2012年、2014年、2016年)獲得金手套獎的徐建昌在走下坡路。 受傷影響很大,而且擔任指定打擊的情況也很多。
作爲二壘手,他失去了競爭力,但卻是有"級別"的選手。 他是金河成(聖地亞哥教士隊)進軍美國職棒大聯盟後培養的新賽季2壘手候補第1位。 特別是打擊能力非常突出。 徐建昌在KBO聯賽的總安打率是0.310。 2020賽季得點圈打擊率也達到0.300,機會非常強。
此前,有不少球隊對引進徐建昌表現出濃厚的興趣。 他還親自向培證諮詢轉會事宜。 "他意"的轉會未能實現。 條件對不上。
這次也有可能成為轉會的”自意"。 門檻降低了。 其他球隊只要與FA徐建昌簽約,培證可以得到2億2500萬韓元+1名選手(保護選手25人以外)或4億5000萬韓元的補償。
徐建昌首先成功提高了關注度。 下一個順序是用"成績"來表現。 這是可以改變今後FA市場版圖的"戰略"。 當然,也有部分人主張有必要更完善FA等級制。
.............
翻完後OS:
我幹嘛翻譯這個?
二壘手嗎?
吳載元再撐一下,就會有新人冒出頭...
(其實去年不要把柳志赫交易出去更不用這麼辛苦...)
我們沒有要加入搶奪徐教授的戰爭呀呀呀...
不用太關心的😛